레이블이 library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library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3월 23일 수요일

google snappy

http://code.google.com/p/snappy/
reddit

오.. 기억해둘만한 라이브러리.
다음번에는 zlib 말고 이놈을 써보자.

2009년 11월 9일 월요일

언리얼 엔진..

http://udk.com/

지난주던가에 풀렸다.
풀렸다곤 해도 소스가 풀린건 아닌거 같고 게임쪽이라 나완 무관하지만
그래도 저게 꽤나 비싼걸로 아는데.. 함 구경해볼만할거같다.

라이센스를 제대로 읽어보진 않았는데 오픈소스 로그라이크들이 저걸 쓸수 있으려나?
GPL 쪽하곤 당연 안섞일것 같은데..



링크추가.
http://www.reddit.com/r/udk/

2009년 4월 22일 수요일

O3D, 구글의 인터랙티브 3D 플러그인 in 브라우저

이런 류의 플러그인은 여러번 시도가 있었으나 대세는 못되고 시들었지만 웹상에서 3d 지원이 필요한것은 부정할수없지. 잘난 구글이 얼마나 잘났는지 구경해보자.

리눅스에서는 직접 빌드해야 하는 모양이라.. 귀찮아서 직접 돌아가는걸 구경하지는 못했다. 우왕ㅋ굳ㅋ

2009년 4월 16일 목요일

c++ 로 간단한 웹을 붙일때 도움될 라이브러리들

우선 링크들만.
ghc 가 그나마 바이너리를 작게 뽑아주길래 happstack 으로 어떻게 해볼려고 했었는데
좌절하고 c++ 쪽 라이브러리들을 찾아본것.

내가 원하는것은 가능한 가벼울것. 스탠드얼론웹서버가 되야 할것. 기존 코드에 바로 집어넣는게 가능해야 할것.누군가에게 받은 html 을 바로 적용할수 있을정도의 간단한 템플릿(복잡한 UI 가 있는게 아니고 그냥 버튼 몇개, 테이블 몇개정도만 쓸꺼니까.. 그이상은 내능력 밖이다).

지금까지는 필요할때마다 대강 아주 무식하게 만들어 써왔는데 C++ web development framework 를 읽고 나서 관련 라이브러리를 한번 정리해봤다.
일단 wt 쪽을 좀 둘러볼 생각이긴 한데 아마 대강 보다 말것 같고 GNU libmicrohttpd
를 쓰게될것 같군... 아니면 직접 대강 만들어 쓰던가...


Wt, C++ Web Toolkit
GPL 또는 상용 라이센스. 이건 라이센스부터 에러인데 상용라이센스 지원하는걸 보니 개발은 계속될듯. 그런데 html 기반으로 개발하는게 아니라 위젯스타일이라..
뭐 어쨌건 상당히 재미있어 보이는 라이브러리. 이놈때문에 이글을 쓰게됐다.

CppCMS
이건 간단한 서버가 아니라 대용량 서버를 컨셉으로 잡았네.... 글쎄 이건 좀 애매하네.
이런 요구사항이라면 당연히 자바등을 택할텐데.
쓸일없을듯.

GNU libmicrohttpd
위쪽 두개와는 성격이 다른건데 뭐 내상황에는 이런놈이 더 어울린다.
임베디드 장비에도 박아넣을수 있을정도로 작고 C 에 LGPL 까지.. 아주 걍 딱이네.
사실 이건 몇달전에 한번 봐뒀던놈. 아래 위키 페이지에서 놀다보니 이놈이 제일 그럴듯해보였었지.

http://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lightweight_web_servers
뭐.. 사실 여기 다들어있다.








2009년 4월 14일 화요일

POCO C++ Libraries, 네트웍 위주의 크로스플래폼 라이브러리

http://pocoproject.org/
  • threads, thread synchronization and advanced abstractions for multithreaded programming
  • streams and filesystem access
  • shared libraries and class loading
  • powerful logging and error reporting
  • security
  • network programming (TCP/IP sockets, HTTP, FTP, SMTP, etc.)
  • XML parsing (SAX2 and DOM) and generation
  • configuration file and options handling
  • SQL database access (ODBC, MySQL, SQLite)

음 처음보는 라이브러리인데 네트웍 서버를 짜는데 유용한 기능들로 채워져있다.
이런 올인원식의 라이브러리는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엥간히 필요하다 싶은건 전부 들어있네. 이정도 규모 라이브러리를 이제 처음 듣다니.. 내가 너무 무신경했다.

기억해두고 눈치보다가 안정성이 검증됐다 싶으면 슬슬 공부해보자.

PS.
DB/암호화모듈/html,xml/소켓(http,ftp,smtp 프로토콜 은 고수준 지원)/쓰레드/cache 등등 정말 없는게 없네...



2009년 3월 10일 화요일

pHash: The open source perceptual hash library

http://www.phash.org/

perceptual hash 라... 이런게 있네.
비슷한 대상으로 해시를 만들면 비슷한 해시값이 떨어져서 검색등에 응용할수 있는 기술.

비슷하다는것은 오디오,비디오 적으로 비슷하다는건데 그러면 신호처리 블라블라.. 겠군.
일단 기억해두면 나중에 쓸일 있겠지.

추가.
http://en.wikipedia.org/wiki/Digital_video_fingerprinting
http://en.wikipedia.org/wiki/Object_recognition

2009년 3월 9일 월요일

Tokyo Cabinet 이놈 좋아보이네

http://tokyocabinet.sourceforge.net


앞글에서 존재를 알게되서 소개글만 대강 읽어봤는데 좋아보이네.
다음에 이런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면 이게 기억나길빈다.

참고
http://en.wikipedia.org/wiki/Qdb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