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링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링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7월 3일 금요일

영화, 게임등에 나오는 총기류 DB

http://www.imfdb.org

한두번쯤은 다시 찾을거란 예감이 들어 적어둔다.

2009년 3월 10일 화요일

pHash: The open source perceptual hash library

http://www.phash.org/

perceptual hash 라... 이런게 있네.
비슷한 대상으로 해시를 만들면 비슷한 해시값이 떨어져서 검색등에 응용할수 있는 기술.

비슷하다는것은 오디오,비디오 적으로 비슷하다는건데 그러면 신호처리 블라블라.. 겠군.
일단 기억해두면 나중에 쓸일 있겠지.

추가.
http://en.wikipedia.org/wiki/Digital_video_fingerprinting
http://en.wikipedia.org/wiki/Object_recognition

퀘이크엔진 코드리뷰

http://fabiensanglard.net/quakeSource/index.php

기억해두자..

2009년 3월 9일 월요일

FriendFeed 의 DB 사용예

How FriendFeed uses MySQL to store schema-less data
reddit

이친구들 RDB 를 key-value DB 처럼 썼네. 적당히 한테이블에 죄다 때려박고 인덱스역할을 하는 테이블을 직접 만들어 쓴것. 쓰고보니 이거 완존 BDB.

뭔가 좀 어색한데 잘 쓰고 있다고 하니 기억해두자.



추가.
유사한놈 구현체중에 LightCloud 가 있는데 뭐 이런 구현체 한두개가 아니지만 소개글중에 벤치마크가 재미있어 보여 적어둔다. Tokyo Cabinet 이라 첨들어보네.

추가. 2009/06/12

2008년 7월 8일 화요일

보고있는 웹사이트 마음대로 수정하기 ( 자바스크립트 )


주소창에 아래 스크립트 집어넣으면 브라우저 상에서 수정가능
javascript:document.body.contentEditable='true'; document.designMode='on'; void 0


언급된대로 구라샷 만드는데 써먹을수 있겠군. 잇힝
아래는 위 스크립트 개정판. 토글이 가능하다. 수정후엔 수정모드를 풀어줘야 하니 이걸 써먹자.

javascript:if(document.body.contentEditable == 'false' || document.body.contentEditable == 'inherit')document.body.contentEditable = 'true';else document.body.contentEditable = 'false';void 0

2008년 6월 19일 목요일

윈도머신을 ssh 로 관리하기

http://www.oreillynet.com/onlamp/blog/2008/06/ssh_in_to_microsoft_windows.html?CMP=OTC-6YE827253101&ATT=ssh+in+to+Microsoft+Windows

지금 쓰고있는 윈도머신이 없어서 테스트는 안해봤다. 저글에 소개된 freeSSHd 는 전에 한번 써본것 같은데 기억이 안나네. 다운만 받고 설치를 안했었나?

어쨌거나 이런게 있으니 기억해두자. 위키에 적기 애매한 링크라 여기 적어둔다.
뭐 사실 적어는 두지만 내가 이걸 쓸것 같지는 않다. rdp 가 쓸만하니까..

2008년 6월 18일 수요일

실행파일 안에 파일 집어넣기

http://www.linuxjournal.com/content/embedding-file-executable-aka-hello-world-version-5967

흠 재미나는 방법이구나. 아래 댓들에도 나왔지만 나라면 재미없게 덤프떠서 변수 하나에 바이너리 때려박는 .c 파일을 만들었을텐데 위에서 소개된 방법은 정말 묘하다.

2008년 5월 15일 목요일

구글이 제공하는 웹개발을 위한 레퍼런스 모음 HTML, CSS, DOM 등등

http://code.google.com/doctype/

웹은 관심밖이니 전혀 필요없지만 가끔 html 을 다룰때 태그를 전혀 모르니 좀 난감했는데 구글이 그럴듯해보이는 문서들을 제공하고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