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ubuntu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buntu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2월 29일 수요일

upstart 를 이용해서 daemon 죽었을때 다시 띄우기

http://upstart.ubuntu.com/

서버등을 돌리다가 죽는경우 다시 띄우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개발중에는 repeat.sh 등을 만들어서 쓰고 있지만 데모용으로 띄울경우는 init 등에서의 작업이 필요. ubuntu 가 가진 upstart 를 쓸때의 간단한 사용법을 적어둔다.

  1. /tmp/a.out 에 데몬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2. /etc/init/foo.conf 작성
    description "shit"
    exec /tmp/a.out
    respawn
  3. sudo initctl reload-configuration 으로 foo.conf 읽고
  4. sudo start foo 로 프로세스 돌리고
  5. initctl status foo 로 확인
  6. sudo stop foo 로 프로세스 정지
좀더 상세한 사항은 init(5), initctl 등의 manpage 참고

2010년 12월 17일 금요일

ulimit 값 변경해주기

리눅스 설치때마다 한번씩 해주는 작업이라 항상 가물가물하다.
이번에 적어두자.

http://posidev.com/blog/2009/06/04/set-ulimit-parameters-on-ubuntu/ 가 원문.

  1. /etc/security/limits.conf 에 적당히 내용 추가
    yoonkn           soft    nofile          20000       
    yoonkn           hard    nofile          65000
    yoonkn           soft    core            100000
    yoonkn           hard    core            100000
  2. /etc/pam.d/common-session 에 아래 내용 추가
    session required pam_limits.so
  3. reboot



2009년 7월 29일 수요일

wubi 쓰지말자 재확인

wubi 가 내 PC 에서는 성능상의 문제가 심각해서 후회중인데...
뭐 지금은 윈도에서 작업해야할 일 때문에 윈도 + 포터블 우분투를 쓰고있는 중이지만.
어쨌건.


회사 다른 직원 PC 를 봐주고 있다가
wubi 를 통한 우분투에서 작업도중 PC 가 갑자기 먹통. 헐

뭐 좋다 다운될수도 있지.
그런데 문제는 다시 부팅후에 wubi 부팅을 고르면(wubi 이므로 이 과정은 윈도 부트로더) grub 프롬프트만 뜨고 더이상 진행이 안된다.

결론만 적자면 wubi 가 쓰던 파티션 파일이 깨졌더라!
헐 이거뭐 앞뒤인과는 모르겠다만 어쨌건 최종적으로 내가 확인한것은 윈도쪽 ntfs 가 깨졌다는거. 탐색기에서는 해당 폴더로 진입 자체가 안되고(에러메시지는 기억안나네 지금 퇴근하고 적는거라) chkdsk 도 에러진단을 내준다(역시 메시지는 기억안난다)

chkdsk /f 돌려주고 나왔는데 그뒤는 모르겠네

어쨌건 wubi 는 단순 구경용이다.
주위에서 이거 쓴다고 하면 일단 말리고 보자.

2009년 4월 17일 금요일

ubuntu 에서 firefox 창의 크기를 키웠을때 패널뒤로 숨거나 패널을 가리는 문제

이것도 뭐라 말하기 애매하구만.
꽤나 오래전부터 가끔씩 firefox 가 패널 영역까지 창이 커져서 짜증이 나는 문제가 있었는데
그냥 참으면서 써오다 오늘 기분 드러울때 이문제가 또 생기길래 검색을 해봤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p=4918486

compiz 와의 충돌이 문제였나본데
뭐 그냥 화면효과 끄면 되지만 건좀 썰렁할거 같고
언급된대로 컴피즈 설정 관리자 를 설치후 적절히 세팅을 해줬다.
이걸로 해결이 됐는지 모르겠네

다음에 이런문제가 또 생기면 compiz 꺼버리든가 하자.

이것도 꽤 연륜있는 버그.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compiz/+bug/240593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compiz/+bug/240736

2009년 4월 6일 월요일

병신 ubuntu 8.10, 업데이트,리부팅 후 키보드 마우스 인식 안되는 문제

아 거참 짱나네
이색히들 업데이트 뜨는건 정말 공포스럽다.
아주 높은 확률로 다른쪽에서 문제가 생기니..
6.10 대 이후로는 뭔가 항상 문제를 안고 써왔는데
이번에도 병신짓을 하네.


오랜만에 윈도가 필요해서 리붓후 다시 우분투로 부팅을 했는데
키보드 마우스 전부 안먹는다.
이런 씨벌 이따위게 데스크탑 지향이라니


검색해보니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967790&highlight=keyboard+mouse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xorg-server/+bug/254840

추가.
흠. 결국 xorg.conf 가 날아간게 문제였네. 적당히 수작업을 채워넣어서 살리긴 했다. 다른애들 고생담을 들어보니 이게 작년부터 있던 문제인데 난 왜 이제 이걸 만난건지 모르겠네.

어쨌건 존나 맘에 안든다.

2009년 3월 30일 월요일

ubuntu, cmake, boost

ubuntu 가 짱나는게 개발툴들이 버전업이 느리다는거.
결국 ppa 를 찾거나 직접 빌드해서 설치해야 하는데
둘다 기분좋은 일은 아니다.

어쨌건 boost 를 쓰게 되기까지의 과정들
  • boost 는 1.38 가져다 직접 빌드. bjam 오랜만에 써보니 인자들이 기억이 안나서 당황. ubuntu 패키지 시스템과 충돌을 피하려고 ~/boost 를 prefix 로 해서 깔았는데 이게 모든 삽질의 시작이 되었다.
  • intrepid 의 cmake 가 boost 1.38 을 지원하지 않는 버전.. 후럴... ~/boost 아래 깔린 boost 라이브러리를 못찾는 문제가 있더라. https://launchpad.net/~pgquiles/+archive/ppa 추가해서 설치. 근데 이친구는 굉장히 많은 패키지를 제공하네.
  • CMakeLists.txt 에 아래 매크로를 추가해줬다. 간단히 테스팅용도로 쓰는거니 매번 타이핑하는건 번거롭지. 처음안 아예 링크까지 매크로안에 포함시켜벼렸는데 그건 좀 그래서 다시 뺐다.
  • 음. 그런데 매크로 짜는게 쉽지 않았다. cmake 스크립트가 워낙 졸렬해서..
    # 간단히 만들어본 boost 사용
    # 최상위 CMakeLists.txt 에서
    #
    # use_boost(1.38 system date_time filesystem)
    #
    # 식으로 버전적은후 필요한 컴퍼넌트들을 줄줄이 적으면 된다.
    # foo 라는 바이너리에 부스트 라이브러리들을 링크할때는
    #
    # target_link_libraries(foo ${Boost_LIBRARIES})
    #
    # 요리 적으면 된다. 정말 편히 쓰려면 아예 link_libraries 를 박아도
    # 되고.
    macro(use_boost ver)
    set(Boost_USE_STATIC_LIBS ON)
    set(Boost_USE_MULTITHREAD ON)

    # 아오 짱나. cmake 문법은 정말 드럽군. &rest 같은놈이 없어서 ARGV 를
    # 복사하고 앞대가리를 뽑아냈다. 달랑 이거 몇줄 때문에 시간 꽤나 날아갔네.
    set(components ${ARGV})
    list(REMOVE_AT components 0)

    find_package(Boost ${ver} EXACT COMPONENTS ${components})
    if(Boost_FOUND)
    include_directories(${Boost_INCLUDE_DIRS})
    endif()
    endmacro(use_boost)


음.. 위 매크로가 추가되면서 내가 자주 써먹는 misc.cmake 는 모양이 이렇게 됐네. 보통 최상위 CMakeLists.txt 에서 이걸 인클루드 하도록 하고 쓰는게 내 현재 개발취향

펼쳐두기..



PS
아..
환경변수에서 BOOST_ROOT 잡는거 잊지 말자.

PS.
오랜만에 C++ 에 boost 까지 써먹으니 빌드속도 쩌는구먼.
아 답답해







2008년 12월 9일 화요일

wubi 성능 저하


스샷은 타이밍이 안맞아서 mount.ntfs 가  CPU 를 얼마 안쓰는걸로 나왔는데 사실 저거 100 치고 그동안 시스템 먹통이다.


wubi 를 이용한지도 반년이 넘은것 같은데 지금 열라 후회중.
사무실에서는 윈도로 부팅하지 않고 지금까지 우분투로만 부팅해서 쓰고있는데 disk IO 가 너무 느려서 짜증난다. 좀 덩치큰 SDK 하나 압축 풀려면 먹통된 상태로 몇시간 걸리고 오늘은 600 메가 짜리 이미지 브라우저로 다운받다가 시스템이 먹통되고 접속이 끊어져 버리네.

다시 까는게 귀찮으니 걍 참고 썼는데 오늘은 너무 짱난다.
어째 갈수록 느려지는듯? 윈도로 들어가서 디프래그라도 돌려볼까.
이를 우얄꼬



추가.
음 윈도로 부팅해서 조각모음 돌려보니 우비 파티션 파일이 9000 조각 정도로 쪼개져있었네. 조각모음 돌리고 다시 리눅스로 들어가보니 쪼금은 나아진것 같기도.